본문 바로가기
리뷰-제품 | 전시 | 공연

길에서 만난 세상

by 야옹서가 2006. 3. 14.

“앞만 보고 가는 녀석이 있었다. 그 녀석은 앞만 보고 가야 무궁한 발전이 있고, 무너지지 않을 탑을 쌓을 수 있고, 국가의 미래를 보장받을 수 있다면서, 마치 브레이크가 없는 승용차라도 탄 듯 뒤돌아보는 일을 게을리 했다. 주변과 이웃들을 조금만 살펴가며 전진했더라도 이웃들이 눈물을 흘리는 데 그쳤을 텐데, 녀석은 이웃들이 피눈물을 쏟아내도록 안하무인으로 앞만 보고 내달렸다. 녀석을 일컬어 사람들은 자본주의라고 했다.”

박영희 시인의 독백으로 시작되는 <길에서 만난 세상>(우리교육 펴냄)은 자본의 논리가 지배하는 한국 사회에서 소외된 채 살아가는 이들을 소개한 책이다. 월간<인권>(국가인권위원회 펴냄)에서 2004년 2월~2005년 7월까지 연재된 동명의 기사를 묶어 펴낸 이 책은, 때로는 울분에 찬, 때로는 서글픈 목소리로 성장 위주 정책에 가려진 한국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낱낱이 까발린다.

소외된 사람들의 지난한 삶의 기록
적은 임금과 고용 불안을 감내하는 울산 현대자동차 비정규직 노동자, 결혼하지 않고 아이를 낳아 사회적 냉대와 빈곤에 직면한 비혼모, 진폐증으로 고통을 겪는 광부들, 감옥 아닌 감옥살이에 시달리는 보안관찰처분 대상자, 속칭 문둥병 환자로 불리며 격리수용된 한센병 환자들, 돈 없고 갈 곳도 없는 탑골공원 노인 등 소외계층의 실상을 고스란히 담았다. 

‘동정 없는 세상’에서 이들이 들려주는 목소리는 나지막하지만 따끔하다. 한쪽 다리에 회복할 수 없는 장애를 입고서야 ‘코리안 드림’을 이룬 이주노동자 투안은 “돈은 모았지만, 사람을 믿는 마음은 잃었다”고 털어놓고, 탈학교 청소년인 효주 역시 “학교를 안 다닌다고 솔직히 말하면 몸 파는 아이 취급을 받는다”며 왜곡된 사회의 시선에 안타까움을 토로한다. 한때 호국용사였으나 늙고 병든 몸만 남은 노인이 “3년 후쯤 가진 돈이 다 떨어지면 조용히 목숨을 끊겠다”고 던진 말 한 마디는, 차마 죽지 못해 살아가는 가난한 노인들의 암담한 현재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인권사각지대 바라보는 시각의 폭 넓혀

이 책의 미덕은 앞서 소개된 사례와 더불어, 그간 인권 침해의 범주에 고려되지 못했던 또 다른 소외계층까지도 두루 살펴보았다는 점이다. 낙후된 고향을 떠나 도시로 갈 날만 꿈꾸는 농촌 청소년의 소외감, 일제 강점기 한국에 정착한 일본인 처들이 배타적 민족주의 때문에 겪는 고난, 낯선 한국 땅에서 노동력과 성을 착취당한 베트남 신부와 코시안(kosian; 한국인과 아시아인 혼혈) 자녀 문제, 7.5평짜리 장기수 독방보다 더 좁은 가판대에서 종일 일하는 노동자의 일상 등이 그것이다. 인권사각지대에 놓인 이들의 삶이 얼마나 다양한 유형으로 존재하는지 새삼 깨닫게 된다.

이들의 이야기가 알려지기까지는 서울, 광주, 부안, 울진, 속초, 소록도에 이르기까지 전국 각지의 그늘진 곳을 취재한 필자들의 공이 컸다. 소외계층을 만나 현장의 목소리를 듣다보면 취재노트에는 눈물이 반, 분노가 반이었다 한다. 신문이나 방송에서 잠시 스쳐가듯 비춰질 때는 찬찬히 볼 수 없었던 이들의 신산스런 삶을 글과 사진으로 접하다보면 마음 한 구석이 울컥해진다.


책을 닫으며 맨 마지막 페이지에 인용된 존 러스킨의 질문을 다시 생각해본다. “우리 중 누가 다른 사람들을 위해 더럽고 힘든 일을 할 것인가? 만약 그와 같은 일을 한다면 보수는 얼마나 받을 것인가? 그리고 누가 쾌적하고 깨끗한 일을 할 것인가? 얼마의 보수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