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재기사 | 칼럼/한겨레 ESC칼럼

스밀라의 기록법

by 야옹서가 2008. 3. 30.

15년 묵은 아파트에 살다 보니, 겉으로는 멀쩡해 보여도 구석구석 뜯어보면 성한 구석이 없다. 처음엔 황금빛이었다가 이젠 구릿빛으로 변한 손잡이는 헛돌기만 할 뿐 제대로 열리지 않고, 부엌 싱크대 서랍 레일이 망가져 툭 기울거나, 거실 천장의 형광등 커버가 느닷없이 추락하는 바람에 가슴이 철렁했던 적도 있다.

하지만 고양이에겐 이렇게 낡은 집도 그저 새로워 견딜 수 없는 모양이다. 하루의 절반 이상을 잠으로 보내는 녀석이지만, 깨어 있을 때면 집 구석구석을 탐색하며 소일하느라 여념이 없다. 책꽂이 위로 폴짝 뛰어올라 꼭대기에 쌓인 먼지를 털고, 방문을 열겠다고 앞발로 문짝을 긁어 생채기를 남기면서.

가끔 스밀라가 문 앞에서 벅벅 긁는 소리를 내면서 밖으로 나갈 때면, 열어주지도 않았는데 혼자 문을 열고 드나드는 게 신기하고 귀엽기도 해서 그냥 내버려두곤 했다. ‘저 녀석, 조그만 게 힘은 장사일세’ 하고 기특해하면서. 문짝 아래 사정없이 긁힌 자국을 제대로 보기 전까지는 말이다.

하루는 문 뒤에 숨어서 스밀라에게 장난감을 던져 슬슬 당기면서 유인하는 놀이를 하는데, 문짝 아래, 딱 고양이 키만한 높이에 어지럽게 긁힌 자국이 눈에 들어왔다. 스밀라가 문을 열고 밖으로 나갈 때마다 조금씩 생채기가 난 모양이다. 흰색 페인트 아래 숨어 있던 나무 속살이 다 드러날 지경이다. 스밀라와 함께 산 지도 2년이 다 되어 가니, 2년 동안 쌓인 세월의 흔적이 문짝에 새겨진 빗금으로 남은 셈이다.

긁힌 문을 보노라니 언제 이렇게 긁어 댔나 싶어 어이없기도 하고, 한편으론 애틋한 마음이 들었다. 숫자를 셀 줄 모르지만, 스밀라는 자신만이 알 수 있는 암호로 집 곳곳에 흔적을 남기면서 나와 함께 살아온 시간을 표시하고 있었던 게 아닐까. 숫자가 없던 시절, 사람들이 나무나 뼈에 빗금을 그어 수를 헤아렸던 것처럼.

언젠가 문 뒤에 더이상 스밀라가 없을 때도, 문 아래 새겨진 빗금들을 보면 스밀라가 떠오르겠지. 좋아하는 사람이 땅콩 초코볼을 즐겨 먹는다는 말을 듣고선, 땅콩 초코볼만 보면 그 사람이 생각나는 것처럼, 낡은 집의 문짝을 볼 때마다 문 아래를 유심히 보게 되겠지. 만약 언젠가 내 집을 갖게 된다면, 문짝 아래 고양이 전용 출입문을 뚫고 싶다. 힘들게 문을 긁지 않아도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반평생 세입자로 살아온 마당에, 집 장만은 요원한 일이겠지만.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박박 긁어놓은 문 뒤로 스밀라가 고개를 갸웃한다. 나는 모르는 일이라는 듯 시치미를 뚝 떼고서.


'취재기사 | 칼럼 > 한겨레 ESC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의 파안대소  (7) 2008.05.22
도시 동물 여행  (4) 2008.04.24
동물학대의 소극적 공범자  (2) 2008.03.12
타인의 취향  (1) 2008.02.28
분리수거된 강아지  (3) 2008.02.1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