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재기사 | 칼럼/박물관 기행

인사동 목인박물관

by 야옹서가 2005. 11. 29.
전통문화의 거리로 불리는 서울 인사동에 최근 새로운 박물관이 들어서 눈길을 끈다. 350여 점의 올망졸망한 나무사람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는 곳, 바로 목인(木人) 박물관이다. 박물관 이름처럼 ‘나무사람’ 조형물을 전문으로 전시하는 이곳에서는 은은하게 빛이 바랜 세월의 흔적을 담은 목인이 곳곳에서 관람객을 반긴다. 12월 초 개관하는 목인박물관을 미리 찾아가 본다.
박물관 입구에서부터 다양한 목인들이 줄지어 서서 관객을 맞이한다.
쌈지길 맞은편 청삿골길 골목으로 한 200여m쯤 올라가다 보면 오른편 골목길에 2층 주택을 개조한 갤러리 겸 박물관이 눈에 들어온다. 물구나무선 목인 부조와 ‘木人’이란 글씨를 새긴 조그만 간판이 박물관의 성격을 미리 알려준다.

목인박물관은 김의광(56) 관장이 30년 전부터 모아온 목인 2,500여 점 중 350여 점을 선별해 전시하고 있다. 김 관장은 박물관 설립에 전념하기 위해 ㈜태평양 녹차 사업을 전담해온 장원산업 회장직을 2004년 12월 말에 사임했다.

그 동안 모은 목인들을 개인 소장품으로 수장고에 남겨두는 것보다 공개를 통해 보다 많은 사람들이 목인의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2005년 9월28일 현대미술을 주로 다루는 1층 목인갤러리가 먼저 문을 열었고, 2층 목인박물관은 12월 초 개관을 목표로 막바지 준비에 여념이 없다.

우리네 일상과 가장 가까웠던 생활예술품
목인박물관에서 수집해온 목인의 범위는 흔히 이야기하는 나무꼭두보다 좀 더 넓다. 사당 절 마을의 공동체 신앙, 장난감 목용 등 나무로 만든 인간 형상의 조형물을 통칭한다. 그런 까닭에 상여를 꾸미는 데 썼던 꼭두나 아이들이 갖고 놀던 목각 장난감 외에도 불교 동자상, 불상 등 다양한 유형이 소장되어 있다. 현재 나무로 만든 목인만을 전문적으로 수집한 박물관은 한국에서 그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어 새로이 들어선 목인박물관의 존재는 더욱 값지다.

갤러리로 사용되는 박물관 1층에 들어서면 50년 전 건축 당시 사용되었던 제비표 시멘트 포대가 고스란히 천장에 붙어 있는 것이 눈에 띈다. 한때 유행한 노출콘크리트 건축이 멋 부리지 않은 듯 투박하나 세련된 것처럼, 시멘트 포대로 도배된 천장은 세월의 흔적을 담고 있돼 지극히 현대적인 설치미술작품을 보는 듯하다.

2층으로 향하는 작은 계단을 올라가면 비로소 다채로운 목인들이 전시된 공간과 마주하게 된다. 호랑이를 탄 목인, 사당에서 쓰던 목인, 재주부리는 광대 목인 등 다채로운 목인들이 빼곡히 서있는 모습이 장관을 이룬다. 조그만 크기의 목인과 아기자기한 공간의 맥락을 잘 활용한 디스플레이가 돋보인다.

천상과 지상을 잇는 가교
볼만한 광경은 여기에서 끝나지 않는다. 각종 목인들이 줄지어 늘어선 진열장을 지나 옆방으로 향하면 갑자기 천장이 두 배로 높아지면서 천상과 지상을 잇는 멋진 무대가 펼쳐진다.

지상부터 높다란 천장까지 이어진 독특한 전시 디스플레이는 천상과 지상을 잇는 가교역할을 한다.

흔히 박물관에서는 전시실 벽과 중앙에 진열대를 마련해 전시하지만, 목인박물관에서는 천장까지도 목인을 매달거나 세워두어 전시 공간을 두 배로 활용했다. 뿐만 아니라 진열장의 높낮이도 달리해 획일적인 느낌을 피했다.

봉황 조각이 하늘을 날고, 목인이 은은한 미소를 지으며 아래를 내려다보는 풍경은 여느 박물관에서는 시도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자칫하다간 매단 목조각이 떨어질까 위험하게 보이기도 하다.

그러나 목인박물관의 생각은 조금 다르다. 물론 소장된 유물의 상태를 온전하게 보존하기 위해 각종 장비를 엄격하게 갖추고 진열장 안에 안전하게 보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원래 목인이 사용되어온 맥락을 고려한 전시 방법 역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저 목불상을 보세요. 손때가 묻어 반질반질하잖아요.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오랜 세월동안 어루만졌다는 뜻입니다. 보존도 중요하지만, 목인은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사용되었던 것이니 만큼 사람들이 가까이 느끼고 볼 수 있는 공간에서 보여지는 것도 중요하죠.”

박준헌 학예실장은 “문턱 높은 박물관 대신 잠시 쉬었다 갈 수 있는 도심 속 쉼터가 되길 바란다”며 “목인박물관이 전통 미감을 담은 휴게공간으로 기능하는 동시에 젊은 작가들에게 영감을 줄 수 있는 공간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목인박물관이 굳이 땅값 비싼 인사동에 자리를 잡은 것은 전통의 거리라는 인사동에서 정작 전통문화는 찾아볼 수 없고 상업시설만 판치는 현실이 부끄러워서다.

잠정적으로 개관 시간을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로 잡은 것은 인사동 갤러리와 화랑들이 보통 오전 11시나 되어서야 문을 열기 때문에 오전에는 갈 곳이 없는 관광객을 배려해서란다.

통 유리창 아래에는 테이블과 의자를 마련했다. 박물관을 들른 사람들이 잠시 다리를 쉬며 생각에 잠길 수 있게끔 하기 위해서다. 테이블 아래에는 우리 전통문화를 다룬 ‘빛깔있는 책들’ 전집을 비치해 박물관을 찾은 사람은 누구라도 손쉽게 읽을 수 있게 했다. 문의전화 02-722-5055.


'취재기사 | 칼럼 > 박물관 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 테디베어박물관  (11) 2006.01.18
화봉책박물관  (12) 2005.12.13
쇳대박물관  (10) 2005.11.21
국립민속박물관  (2) 2005.11.13
안동 하회동 탈 박물관  (0) 2005.11.1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