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련된 우리말의 아름다움에 천착해온 소설가이자 칼럼니스트 고종석이, 한국 현대 시인 50명과 대표시집을 소개한 <모국어의 속살>(마음산책)을 펴냈다. 2005년 3월부터 1년 간 한국일보에 연재된 칼럼 ‘시인공화국 풍경들’을 묶은 이 책은 김소월에서 시작해, 김수영, 서정주, 신경림, 백석, 조은, 황지우, 채호기, 김영랑, 김지하, 정지용, 김기택, 고정희, 신현림, 고은, 심지어 동요 작가 윤극영에 이르기까지 두루 아울렀다. 저자의 표현을 빌자면 “우리 시문학 백년사에서 제 방 하나를 너끈히 가질” 만한 시인들의 나라가 책 한 권에 구축된 셈이다. 그의 책 속에 골골이 펼쳐진 모국어의 길을 따라 걷는 것은, 정교한 로드맵을 따라 고속도로로 이동하는 여행이 아니라, “수많은 이면도로와 오솔길과 뒷골목”을 따라 걷는 내밀한 산책이다. 고종석은 마치 실재하는 시인공화국을 여행하기라도 하듯, 시인들을 공간과 장소에 빗대 분위기를 돋운다. 이를테면 김소월의 ‘진달래꽃’을 “한국 현대 시문학의 수원지”로 평가하면서 시인공화국의 ‘정부(政府)’에 빗대 설명하고, 김정환의 ‘지울 수 없는 노래’를 ‘성채’에 견주는 식이다. 고종석은 골목길 카페같은 성미정의 시집 속으로 불쑥 들어가 커피 대신 블랙유머를 한 잔 들이마시고, 놀이공원이나 디즈니월드 같은 박상순의 ‘Love Adagio’ 속에서 부유하는 글자들과 함께 노닌다. |
그러나 이런 공간 설정의 잔재미보다 이 책을 매력적으로 만드는 것은, 시인들의 본질을 들여다보는 그의 눈과 언어다. 스타일리스트라는 세간의 평가답게 미려한 언어로, 순진한 처녀 같은 ‘모국어의 속살’을 무방비 상태로 드러내게 만드는 능수능란함에는 홀리지 않을 재간이 없다. 고종석은 노향림의 ‘눈이 오지 않는 나라’에서 뛰어난 소묘력을 지닌 언어로 그림을 그리는 화가의 전람회를 읽어내고, 김경미의 ‘쉬잇, 나의 세컨드는’에서 상처 입은 자아가 휘두르는 자책의 채찍자국을 본다. 그 치밀한 시선이 절정에 달한 곳은 강정의 ‘처형극장’을 평하는 지점이 아닐까 싶다. 고종석은 1971년생 젊은 시인이 10년 전에 펴낸 시집을 뒤늦게 접하고 느낀 충격을 “유미교(唯美敎)의 진정한 교주”라며 아낌없는 찬사로 표현한다. 고종석이 “‘처형극장’의 아름다움은 음지의 아름다움, 검(붉)은 아름다움이다. 그 습한 아름다움은 들머리의 시 ‘아름다운 흉조(凶兆)’에서 일찌감치 펼쳐진다”고 평할 때, 독자들은 선혈 같은 노을이 어두운 습지 위로 흩뿌려진 풍경을 본다. 또한 “‘처형극장’을 리듬이 거세된 시집이라고는 할 수 없다. 단지 그 리듬이 이를테면 데쓰메털의 빠르고 격렬하고 거친 리듬을 닮았을 뿐”이라고 부연할 때, 강정의 시는 저승사자의 음산한 노래가 되어 독자들의 귓속을 파고든다. |
'리뷰-제품 | 전시 | 공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세기 영국에서도 결혼은 ‘로또’였다-<오만과 편견> (0) | 2006.05.13 |
---|---|
무의식의 바다에서 건져 올린 상징 언어-<인간과 상징> (0) | 2006.05.13 |
1920년 미국, 그 혼돈과 낭만의 시대-<원더풀 아메리카> (0) | 2006.05.13 |
'치유와 화해' 말하는 하루키의 상상력-<도쿄기담집> (0) | 2006.04.17 |
25년간 '청학동'을 찍은 남자-류은규의 '청학동 이야기'전 (1) | 2006.04.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