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틀샘터/ 2001. 4.]실물과 꼭 닮은 그림을 보면, 우리는 흔히 “와, 사진같이 그렸네.”라는 표현을 쓰곤 하죠. 호암갤러리에서 4월 29일까지 열리는 '사실과 환영:극사실 회화의 세계'전에서 이런 반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실 원근법의 도입과 유화 물감의 발명 이후, 평면 위에 재현되는 3차원적 이미지는 사람들에게 익숙한 것입니다. 그러나 기존의 사실주의적 회화가 아무리 대상의 재현에 충실하다 해도 미세한 빛의 변화나 사물의 움직임을 그대로 담아내는 건 불가능했던 반면, 극사실주의 회화는 일차적으로 작가가 대상을 촬영하고, 그 사진을 슬라이드 프로젝터를 이용해서 캔버스에 비추면서 확대된 크기대로 옮겨 그리거나, 혹은 사진을 촘촘한 모눈으로 나누어서 기계적인 확대를 하는 방식으로 제작됩니다. 그래서인지, 완성된 그들의 그림을 보면 스트레이트 사진의 속성과 유사함을 느끼게 되죠.
먼저 미국 극사실주의 회화에 대한 감상을 표현하자면, 잘 그렸다는 느낌 이전에 ‘황량하다’는 생각이 먼저 듭니다. 지극히 사실적인 그림들이기는 하지만, 생생하다는 표현을 할 수는 없었습니다. 박제된 거대한 동물을 보는 듯한 느낌이라고나 할까요. 그림 속의 주인공은 사물이 주를 이룹니다. 랠프 고잉스가 그린 일련의 트럭 그림이나, 톰 블랙웰이 즐겨 그렸던 오토바이, 찰스 벨의 껌 자판기, 로버트 커팅햄의 간판 그림처럼 말이죠.
그림에 인물이 등장하지 않는 것은, 관람자가 그림 속에 묘사된 대상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라는 것이 표면적인 이유입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인간보다 사물의 부가 가치를 중요시하는 산업 사회의 물신 숭배를 풍자하는 것으로 생각되기도 합니다. 1985년에 제작된 리처드 에스테스의 그림 <타임스 광장, 오후 3시 53분, 겨울>은 박제된 시간의 황량한 모습을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1층 전시실 중간과 2층 전시실에는 서정찬, 이석주, 조상현, 변종곤, 김홍주, 송윤희, 김종학 등 한국 작가들의 작품이 이어집니다. 미국의 극사실주의 회화가 화면의 마무리를 평평하고 매끈하게 처리해, 마치 사진을 거대하게 확대해 놓은 듯한 느낌을 더하는데 비해, 한국 작가들은 질감의 표현에서 좀 더 다원화된 모습을 보입니다.
예컨대 김창영의 모래밭 그림이나 김강용의 벽돌 그림처럼, 실물같은 느낌을 내기 위해서 캔버스에 모래를 바른다거나, 혹은 고영훈의 <돌 책>에서 배경으로 책의 낱장을 잘라 붙이는 경우가 이에 해당하는데, 나란히 늘어서 있는 종이 위에 돌 조각이 가볍게 떠 있는 화면 구성으로 초현실적인 느낌도 강합니다.
또 하나의 차이점은, 미국 작가들의 경우 묘사된 사물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어 객관성이 두드러지는 반면, 한국 작가들의 경우에는 그런 경향과 더불어 사물을 아주 가까이에서 포착한다거나, 혹은 배경을 간략하게 처리해서 미니멀한 추상 회화와 같은 인상을 준다는 것입니다. 그들이 극사실주의 회화를 표방하고 나섰을 때 반발했던 대상과 어떤 식으로든 이어져있다는 점이 엿보이기도 합니다. 가죽 소파의 단추 부분을 크게 확대해서 그린 지석철의 그림 <반작용>이나 돌의 표면을 묘사한 고영훈의 그림에서 그런 특징이 잘 나타납니다.
극사실주의는 1960년대 추상표현주의의 예술지상적 경향에 반기를 든 팝아트의 연장선에서 해석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그것이 1970년대 한국 화단에 도입되면서 어떤 변화를 거쳤는지, 이를테면 '원조집'과 '전수받은 집'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어 흥미로운 전시였습니다.
사실 원근법의 도입과 유화 물감의 발명 이후, 평면 위에 재현되는 3차원적 이미지는 사람들에게 익숙한 것입니다. 그러나 기존의 사실주의적 회화가 아무리 대상의 재현에 충실하다 해도 미세한 빛의 변화나 사물의 움직임을 그대로 담아내는 건 불가능했던 반면, 극사실주의 회화는 일차적으로 작가가 대상을 촬영하고, 그 사진을 슬라이드 프로젝터를 이용해서 캔버스에 비추면서 확대된 크기대로 옮겨 그리거나, 혹은 사진을 촘촘한 모눈으로 나누어서 기계적인 확대를 하는 방식으로 제작됩니다. 그래서인지, 완성된 그들의 그림을 보면 스트레이트 사진의 속성과 유사함을 느끼게 되죠.
먼저 미국 극사실주의 회화에 대한 감상을 표현하자면, 잘 그렸다는 느낌 이전에 ‘황량하다’는 생각이 먼저 듭니다. 지극히 사실적인 그림들이기는 하지만, 생생하다는 표현을 할 수는 없었습니다. 박제된 거대한 동물을 보는 듯한 느낌이라고나 할까요. 그림 속의 주인공은 사물이 주를 이룹니다. 랠프 고잉스가 그린 일련의 트럭 그림이나, 톰 블랙웰이 즐겨 그렸던 오토바이, 찰스 벨의 껌 자판기, 로버트 커팅햄의 간판 그림처럼 말이죠.
그림에 인물이 등장하지 않는 것은, 관람자가 그림 속에 묘사된 대상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라는 것이 표면적인 이유입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인간보다 사물의 부가 가치를 중요시하는 산업 사회의 물신 숭배를 풍자하는 것으로 생각되기도 합니다. 1985년에 제작된 리처드 에스테스의 그림 <타임스 광장, 오후 3시 53분, 겨울>은 박제된 시간의 황량한 모습을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1층 전시실 중간과 2층 전시실에는 서정찬, 이석주, 조상현, 변종곤, 김홍주, 송윤희, 김종학 등 한국 작가들의 작품이 이어집니다. 미국의 극사실주의 회화가 화면의 마무리를 평평하고 매끈하게 처리해, 마치 사진을 거대하게 확대해 놓은 듯한 느낌을 더하는데 비해, 한국 작가들은 질감의 표현에서 좀 더 다원화된 모습을 보입니다.
예컨대 김창영의 모래밭 그림이나 김강용의 벽돌 그림처럼, 실물같은 느낌을 내기 위해서 캔버스에 모래를 바른다거나, 혹은 고영훈의 <돌 책>에서 배경으로 책의 낱장을 잘라 붙이는 경우가 이에 해당하는데, 나란히 늘어서 있는 종이 위에 돌 조각이 가볍게 떠 있는 화면 구성으로 초현실적인 느낌도 강합니다.
또 하나의 차이점은, 미국 작가들의 경우 묘사된 사물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어 객관성이 두드러지는 반면, 한국 작가들의 경우에는 그런 경향과 더불어 사물을 아주 가까이에서 포착한다거나, 혹은 배경을 간략하게 처리해서 미니멀한 추상 회화와 같은 인상을 준다는 것입니다. 그들이 극사실주의 회화를 표방하고 나섰을 때 반발했던 대상과 어떤 식으로든 이어져있다는 점이 엿보이기도 합니다. 가죽 소파의 단추 부분을 크게 확대해서 그린 지석철의 그림 <반작용>이나 돌의 표면을 묘사한 고영훈의 그림에서 그런 특징이 잘 나타납니다.
극사실주의는 1960년대 추상표현주의의 예술지상적 경향에 반기를 든 팝아트의 연장선에서 해석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그것이 1970년대 한국 화단에 도입되면서 어떤 변화를 거쳤는지, 이를테면 '원조집'과 '전수받은 집'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어 흥미로운 전시였습니다.
'리뷰-제품 | 전시 | 공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한한 삶에 대한 사진의 탐구-구본창 사진전 (0) | 2001.06.02 |
---|---|
짜릿한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액티브 와이어'전 (0) | 2001.06.01 |
해와 달, 나무와 장욱진 (2) | 2001.01.01 |
한국적 인상주의를 구축한 화가-이인성 작고 50주기 회고전 (2) | 2001.01.01 |
‘인상파와 근대미술’ 전 - 오르세 미술관 한국전 (11) | 2001.01.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