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뷰-제품 | 전시 | 공연

예술에 몸을 내맡긴 육체의 구도자 ‘성(聖) 오를랑’

by 야옹서가 2001. 12. 6.

Dec 06. 2001
| “임산부나 노약자는 관람을 삼가시기 바랍니다.” 11월 22일부터 12월 19일까지 평창동 갤러리세줄 개관기념전으로 열리는 신체예술가 오를랑(Orlan, 54)전의 비디오 상영실 입구에 붙은 안내문구다. “너의 육체는 전쟁터다”라는 바바라 크루거의 명제를 연상시킬 만큼 그의 작품들은 충격적이다. 9차례에 걸쳐 자기의 얼굴을 성형수술하는 퍼포먼스로 미의 본질을 탐구한 오를랑은 이번 전시에서 자신의 성형수술과정을 찍은 사진과 비디오, 최근작인 디지털 성형사진 ‘자기-교배’연작 등을 선보인다.

9차례에 걸친 성형수술 퍼포먼스로 남성중심 미의 기준 풍자
1960년대 초부터 행위예술가로 활동해온 오를랑은 1971년 ‘성모마리아 아니면 창녀’라는 여성에 대한 이분법적 관념을 조소하며 스스로를 ‘성(聖) 오를랑’이라 부르기 시작했다. 급진적 페미니즘에 바탕한 그의 신체예술 중 1990년부터 1993년까지 시행한 일련의 성형수술 퍼포먼스는 특히 유명한데, 1층에 전시된 사진작업과 비디오작업은 그 과정을 보여준다. 오를랑은 그리스 신화와 미술사 속 미녀의 이미지를 부위별로 조합해 성형수술함으로써 ‘이상적인 미’의 기준에 대해 의문을 표시했다. 예컨대 디아나의 눈, 프시케의 코, 비너스의 턱, 모나리자의 이마 등 남성 미술가의 작품에 묘사된 남성 중심적, 서구 지향적인 미의 기준을 패러디해 자신의 얼굴에 이식하고 그 과정과 결과를 보여줌으로써 충격을 준다.

육체를 패러디의 도구로 사용한 오를랑의 신체예술은 변형된 레디메이드에 가깝다. 이런 경향은 1993년 마지막 성형수술 퍼포먼스에서 절정에 이른다. ‘어디에나 있음(Omnipresence)’이란 제목의 이 작품에서 오를랑은 두 개의 혹을 이마에 이식해 역설적으로 세상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외모가 됐다. 푸른 선, 점선, 기호 등으로 얼굴에 수술할 곳을 표시한 채 선혈을 흘리는 오를랑은 통과의례를 위해 갓 문신한 아프리카 전사를 연상시킨다. 한편으론 그의 표현처럼 고행을 자청한 성자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처럼 ‘성’과 ‘속’의 이미지가 교차하는 것은 오를랑 작품의 특징이다. 1층에 전시된, 수술과정을 찍은 비디오의 스틸사진을 이용한 작품을 보면 하얀 십자형 프레임이 눈에 띄는데, 이는 작가가 창출해낸 일종의 성흔인 셈이다.

비서구문화 속에서 상대적인 미의 재발견 시도 
이상화된 미의 기준에 문제를 제기한 오를랑의 성형수술 퍼포먼스는 컴퓨터 합성기법을 이용한 디지털 성형수술 ‘자기 교배(Self-Hybridization)’연작으로 이어진다. 마야 문명과 올메카 문명 등 고대 멕시코 문명에서 발견된 도상, 아프리카 가면과 조각상에서 빌려온 이미지 등을 오를랑의 얼굴과 합성한 초상사진들은 서구문화의 기준으로 보면 기이하다할 만큼 왜곡됐지만, 이는 비서구문화 속에서 상대적인 미를 재발견하기 위한 시도다. 다산과 대지의 원초적 힘을 나타낸 이들 도상은 여성에게 내재된 본연의 힘을 상징하며 제의적이고 주술적인 시원에 맞닿아있는 듯하다.

전시기획을 맡은 이경호씨는 “오를랑 개인전은 아시아에서는 최초로 개최되는 것”이라며 의의를 밝히고 “그의 작업을 단순히 성형수술이라는 센세이셔널한 측면에서만 다룰 게 아니라, 페미니즘적 견해를 일관되게 지속해온 작품활동에 주목했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1층 전시실에서는 성형수술 과정을 담은 비디오가 상영되며, 1960년대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오를랑의 작품을 집대성한 CD-ROM 포트폴리오도 감상할 수 있다. 입장료 무료. 문의전화 02-391-917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