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저,원래 얼굴이 이래요" 소심한 길고양이 서울의 한 사찰 안에서 만난 이 고양이는 절밥을 얻어먹고 살아갑니다. 엄밀히 말한다면 길고양이라기보다는, 절고양이라고 불러야 할지도 모르겠네요. 먹을 것에 대한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되고, 반 정착 상태로 살아가니까요. 보통 대학 캠퍼스나, 혹은 절 안에 거처를 마련한 고양이들은 그나마 여느 길고양이보다 생활하기가 수월한 편입니다. 학교 길고양이의 경우에는, 학생들 중에 고양이를 좋아하고 집에서 고양이를 키우는 사람들이 있어 사료나 간식을 갖다주기도 하고, 학생식당에서 꾸준히 나오는 잔반이 있어 이것을 주식으로 삼기도 합니다. 절고양이의 경우, 생명을 중시하는 곳이기에 길고양이를 쉽게 내치지 않는 경우가 많답니다. 하지만 별로 근심이 없을 것 같은 절고양이 팔자인데도, 어쩐지 얼굴에 수심이 가득해 보이는 .. 2009. 2. 1.
길고양이의 눈밭 화장실 '깜짝공개' 길고양이는 화장실 청결에 무척 신경을 쓴답니다. 아무리 추운 날씨에도, 심지어 눈이 펑펑 온 다음날도 깔끔한 뒤처리를 하기 위해, 볼일을 다 보고 나면 땅에 파묻는 행동을 합니다. 이유는 "내 흔적을 적에게 알리지 말라" 정도라고 하면 될까요? 소변이나 대변을 보기 전에 꼭 땅을 파고 오목한 웅덩이를 만든 다음, 의젓한 자세로 앉아 볼일을 보고, 흙을 앞발로 그러모아 볼일 본 자리에 덮습니다. 그럼 볼일을 본 흔이 모두 땅에 묻히게 되고, 냄새도 나지 않겠죠. 적에게 자기 흔적을 들키고 싶지 않은 고양이의 습성이 남아있는 까닭에, 집고양이들도 모래만 준비해주면, 따로 화장실 훈련을 시키지 않아도 스스로 모래 있는 곳으로 가서 볼일을 본답니다. 그럼 추운 겨울날 길고양이의 눈밭 화장실 풍경은 어떨까요? 춥.. 2009. 1. 31.
분홍코 길냥이의 '호기심 천국' 밀레니엄 고양이 중 가장 인기 많은 밀크티를 위협할 만큼 매력적인 길고양이가 나타났다. 바로 분홍코 아깽이가 그 주인공이다. 보통 길고양이들은 먹이를 파헤치고 쓰레기통을 뒤지느라 콧잔등에 까만 때가 묻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때는 어지간해서는 잘 지지 않는다. 하지만 분홍코 아깽이는 아직 어려서인지, 혈색 좋고 빛깔이 선명한 분홍색 코를 간직하고 있다. 눈밭을 종종걸음으로 누비고 다니는 분홍코를 보니 함민복 시인의 에세이 중 한 부분이 떠올라 옮겨 적는다. 생전 처음 눈을 본 '햇개' 길상이에게 이야기를 건네는 대목이다. 눈 내린 새벽 장갑과 모자를 준비하고 마당으로 나가 찬 공기부터 한 큰 숨 들이마셨다. 그러고 나서 개집 지붕을 쓸어주었다. 난데없는 사방 은세계에 어리둥절한 똥개의 눈빛. '야, 길.. 2009. 1. 28.
거문도 길고양이 프로젝트 중간결산, 2009년 목표 2008년 10월 말~12월 말까지 진행한 '거문도 길고양이 프로젝트' 중간결산입니다. 거문도 방문과 더불어, 길고양이로 유명한 일본 섬의 사례, 고양이를 중심으로 한 문화사업 추진 사례 등을 조사하였고, 부족하나마 자료들을 취합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 1. '거문도 길고양이 프로젝트' 시작합니다. 2. 행복한 길고양이의 천국, 다시로지마 3. 한·일 블로거, ‘거문도 길고양이 프로젝트’로 만나다. 4. 거문도 길고양이를 만나고 왔습니다. 5. 거문도 길고양이 문제-전시+모금으로 알리기 6. 와카야마전철 고양이 역장을 만났어요 7. 플랫폼 토이와 함께하는 즐거운 기부 8. 복고양이 축제가 열리는 골목, 오카게요코초 9. 일본 고양이역장을 벤치마킹한 점촌역 강아지역장 거문도.. 2009. 1. 27.
스밀라에게 캣타워를 설날 손님맞이 준비를 하면서 스밀라가 좋아하는 낡은 의자 2개를 내다버렸다. 좌석부분을 스크래처 삼아 하도 뜯어놓았는지라, 완전히 너덜너덜해져서 봐줄 수가 없어서. 현관 문을 열고 의자를 버리러 가는 어머니를 보는 스밀라의 눈이 동그래졌다. '어, 저거 내 건데' 하는 표정이다. 그러고 나니 스밀라가 뛰어올라 놀 자리가 없어져버렸다. 잡기놀이를 좋아하는 스밀라는, 내가 두 손을 위로 치켜올려 들고 "잡아야겠다" 하면서 달려들면, 눈을 크게 뜨고 귀는 납작하게 해서, 의자 위로 폴짝 뛰어올라 벅벅 스크래치를 하곤 했다. 한데 이제는 잡기놀이를 해도, 뛰어올라 스크래치를 할 곳이 없다. 여느 때처럼 의자가 있던 곳까지 달려간 스밀라는, 싱거워졌는지 교자상 밑으로 슬그머니 들어가버린다. 잡기놀이의 정점은 거실.. 2009. 1. 26.
눈밭에서 식빵 굽는 길고양이들 폭설 내린 다음날, 길고양이들은 어떻게 혹독한 추위를 견딜까? 걱정도 되고, 마침 설도 다가오는지라 별식이라도 챙겨줘야겠다 싶어 사료와 파우치를 들고 밀레니엄 고양이를 만나러 갔다. 처음에는 다들 어디엔가 숨어 바람을 피하고 있는지, 한 마리도 보이지 않았다. 가방을 열어 부스럭거리며 사료 봉지를 꺼내고 있자니, 얼굴이 익은 녀석들이 한두 마리 고개를 내밀고 어슬렁어슬렁 다가온다. 몇 년 간 드나들며 서로 얼굴을 익힌 터라, 따로 인사치레를 하지 않아도 '저 인간이 밥을 주러 왔구나' 정도는 금세 알아차리는 것이다. 밀크티가 제일 먼저 앞장서고, 호랑무늬 고양이를 비롯한 친구들이 뒤따랐다. 이곳에는 보통 7~8마리가 상주하는데, 카오스 고양이와 항상 짝을 이뤄 다니던 젖소 고양이가 보이지 않았다. 가장 .. 2009. 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