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르는 스밀라 유리문을 열어달라고 조르는 스밀라. 목을 쭉 빼고 눈을 동그랗게 뜬 채 올려다본다. 예전에는 유리문 앞에 앉아서 '앵' 하고 울기만 하더니, 이제는 앞발로 유리문을 탕탕 친다. 2006. 8. 5. 고양이 치질 스밀라는 여전히 낮에는 테이블 밑 ‘고양이 동굴’, 밤에는 7단 수납장 위에서 시간을 보낸다. 테이블 밑이라고 해봤자 진짜 동굴처럼 시원하진 않을 테지만, 어쨌든 다른 사람의 시선에 구애받지 않고 혼자 조용히 뒹굴뒹굴할 수 있으니 좋아하는 것 같다. 여전히 새벽 5시에 ‘앵’ 울면서 밥 달라고 보채고, 그러면서도 정작 밥을 주면 잘 안 먹는다. 깨작깨작, 늘 두 입 정도 남아있다. 문제는, 물을 잘 안 먹는다는 점. 수돗물에서 염소 냄새가 날까 싶어서 하루 받아놨다가 주는데도. 어제 보니 안간힘을 쓰며 변을 보는데, 힘을 줄 때 항문이 빨갛게 충혈되어 피가 날 지경인 걸 보고 놀랐다. 고양이 치질인가-_-; 집에 처음 올 때 항문 근처가 약간 뿌옇게 짓물러 있었는데, 낫지 않고 그대로다. 변도 맛동산 모.. 2006. 8. 1. 비 오는 날, 스밀라 고양이 입양자를 찾았다던 친구에게서 다시 전화가 왔다. 가족의 반대로 돌아왔다고 했다. 갑작스레 들려온 파양 소식에 심란했다. 친구네 집에서는 이미 길고양이 한 마리를 구조해서 키우고 있었다. 두 마리는 안 된다고 이미 반대했다는 소식이었다. 파양된 첫날밤은 선배네 집에 하룻밤을 재웠지만 계속 신세를 질 수는 없어서 일단 우리 집으로 데려왔다. 입양 갈 때까지 시간을 벌 수 있는 곳이 필요했고, 어머니는 고양이를 무서워해서 키우는 걸 반대했지만 당분간이라면 가능할 것 같았다. 그렇게 얼떨결에 고양이를 데리고 있게 된 게 열흘째다. 처음 데려온 날 테이블 밑 어둡고 구석진 곳으로 자꾸 들어가기에, 상자 같은 걸로 통로를 막았었다. 그랬더니 앞발로 벅벅 긁으면서 들어가려고 버둥거리는 게 아닌가. 사방이 트.. 2006. 7. 28. 고양이 몸의 비밀 어쩌다 어제 두 시간밖에 못 자서, 오늘은 일찍 자려고 자정 넘어 불을 끄고 누웠다. 설핏 잠이 든지 두어 시간 지났나, 잠결에 뭔가 부스럭거리는 소리가 났다. 고양이가 화장실 쓰는 소리겠거니 하고 자려는데, 이번엔 빗자루 같은 뭔가가 발치를 스윽 스치고 지나간다. 허걱, 이 녀석이 탈출했구나. 허겁지겁 일어나보니, 고양이가 컴퓨터 책상 밑에 허리를 구부린 자세로 앉아 있다. 유리문 하나를 사이에 두고 고양이와 내가 생활하는 공간이 분리되어 있는데, 공기 통하라고 문을 조금 열어뒀더니, 그 틈으로 슬며시 빠져나온 것이다. '설마 이 사이로는 못 나오겠지?' 하고 방심했는데, 고양이의 유연성을 너무 가볍게 생각한 모양이다. 지금도 조마조마하면서 데리고 있는 거라, 밖에 나왔다가 여러 사람 눈에 밟히면 그렇.. 2006. 7. 22. 장마철에 버려진 흰 고양이 친구네 집 근처에서 닷새째 방황하고 있던 고양이가 있었다. 혹시 집 잃은 고양이가 아닐까 싶어 닷새 동안 기다려봤지만, 찾는 사람은 나타나지 않았다고 한다. 지나가던 사람들이 빵을 주기도 했는데 먹지 않고, 집에서 키우는 고양이가 먹던 사료를 주니 잘 먹더란다. 원래 고양이는 육식동물이라 빵 따위는 거의 먹지 않지만, 길고양이 생활이 오래 가면 빵은 물론이고 밥도 먹는다. 결국 친구가 데려다 씻기고 입양을 보낸다며 케이지에 넣어 데려왔다. 요즘 비도 많이 오는데, 자립 능력이 있는 것 같지도 않은 녀석을 언제까지 길바닥에 내버려둘 수 없었다고. 한데 그 집에서도 이미 가족의 반대를 무릅쓰고 길고양이를 입양해 키우고 있던 터라 둘째까지 업둥이를 들일 수는 없는 형편이었다. '일단 데려와서 입양을 보내든가 .. 2006. 7. 16. 김영하, 노석미, 마리캣-길고양이 데려다 키우는 작가들 [미디어다음 | 2006.06.28] 생명을 물건처럼 사고파는 충무로 애견 거리에서조차 ‘입양’이란 표현을 관용적으로 쓰는 게 요즘 추세다. 하지만 동물의 나이, 혈통에 따라 상품 가치를 매기고, 그 상품성에 따라 동물의 운명이 좌지우지되는 현실에서, 입양이란 말은 그저 사탕발림일 뿐이다. 갖가지 이유로 길에 버려진 동물들은 정작 입양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다. 그러나 버려진 동물들을 데려다가 식구처럼 함께 살며, 진정한 ‘입양’을 실천해온 사람들이 있다. 소설가 김영하, 화가 노석미, 일러스트레이터 마리캣이 들려주는 길고양이 입양기. 1. 소설가 김영하-그 남자의 유쾌한 고양이 입양기 누구나 반려동물에 대한 이상형이 있다. 소설가 김영하도 처음엔 그랬다. 어차피 여러 마리 기를 것도 아닌데, 이왕이면 하얀.. 2006. 6. 28. 이전 1 ··· 103 104 105 106 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