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실의 재현을 넘어선 사진예술의 실험무대-제3회 사진영상페스티벌 Aug. 08. 2003 | 평창동 가나아트센터·포럼스페이스에서는 8월 31일까지 ‘제3회 사진영상페스티벌’전을 개최한다. 올해로 3회 째를 맞이한 본 전시는 ‘금지’라는 대주제 아래 미국, 프랑스, 독일, 스위스, 일본, 한국 등 12개국 작가 20명이 참여해 사진·영상작품 70여 점을 선보였다. 출품된 사진의 규모가 상당부분 축소되고 한국작가의 참여 폭도 대거 줄어든 것이 1, 2회 전시와 비교해 눈에 띄는 차이점이다. ‘금지된 허구’‘보이지 않는 풍경’‘비디오 포럼’의 세 파트로 나뉘어 진행된 올해 전시에서 단연 눈길을 끈 것은 첫 번째 파트인 ‘금지된 허구’. 1990년대 이후 활발하게 전개된 포스트모더니즘 사진 속에서 다양한 사진의 가능성을 실험한 참신함이 돋보인다. 현실세계에서 포착한 일상의 .. 2003. 8. 8.
기형적 삶에서 발견한 초월의식 - 다이안 아버스 Aug. 08, 2003 | 이른바 ‘조형사진’이라고 불리는 만들어진 사진들이 유행처럼 퍼져나가는 요즘, 사진에 어떤 조작도 가하지 않고 우직하게 찍어낸 사진이 설 입지는 상대적으로 많이 좁아진 듯하다. 그 중에서도 특히 다큐멘터리 사진 분야는 현란한 합성기술로 눈길을 사로잡지도 못하는 데다, 흑백이 주류를 이루는 소박한 색감은 화려한 컬러사진에 종종 압도되곤 한다. 그러나 다큐멘터리 사진만큼 스트레이트 사진의 힘을 느낄 수 있는 분야도 드물다. 사진을 통해 진실을 보고자 하는 사람들의 열망을 가장 적확히 표현하기 때문일 것이다. 다큐멘터리 사진가로 거듭나게 한 두 번의 만남 다이안 아버스(Diane Arbus)는 현대다큐멘터리 사진의 역사 속에서 그 극적인 삶만큼이나 강렬한 사진 때문에 신화가 된 인물.. 2003. 8. 8.
엄마, 올 여름엔 미술관으로 놀러가요 Aug. 01. 2003 | 7, 8월은 화랑가에서 비수기에 속하지만, 여름방학 특수를 맞아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다채로운 기획전이 열리는 시기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어린이 대상 전시들은 ‘놀이와 체험’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평소에는 이것저것 하지 말아야 할 것이 많았던 미술관의 제약에서 답답함을 느꼈던 아이들도 직접 작품을 만져보거나 작품 속으로 직접 들어가 보기도 하며 즐거움을 느낀다. 아이들은 눈높이를 맞춘 전시에 즐겁고, 어른들은 동심의 세계로 빠져들 수 있는 어린이 대상 전시 두 가지를 함께 소개한다. 그림책 속 환상세계로 들어가자 - 동화 속 미술여행 그림책에 관심이 많다면 갤러리현대·두아트갤러리에서 8월 17일까지 열리는 ‘동화 속 미술여행’전을 찾아가 보자. 갤.. 2003. 8. 1.
술에 취하고 그림에 취하다 - 예술가의 愛술이야기전 Jul. 25. 2003 | 빈센트 반 고흐, 툴루즈 로트렉, 윌렘 드 쿠닝, 프란시스 베이컨…얼핏 보기엔 개연성이 없어 보이는 이름들이지만, 이들의 삶을 주의 깊게 들여다본 사람이라면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바로 술에 탐닉했다는 점이다. 가난했던 탓에 싸구려 압생트를 즐겨 마신 반 고흐는 압생트의 독성 때문에 적록색맹이 됐다는 설이 전해지며, 물랭루즈의 터주대감 툴루즈 로트렉도 압생트 중독의 후유증으로 의심되는 간질증세로 괴로움을 겪었다. 베이컨은 그림을 시작하기 전 의식처럼 술을 마시는 것이 예사였고 윌렘 드 쿠닝은 만년에 알콜중독으로 힘겨워하기도 했다. 이렇듯 예술가는 현실의 고난을 잊기 위해, 혹은 예술적 영감을 얻기 위해, 혹은 동료들과 어울리기 위해 술을 마셨다. 작가의 개성 닮은 술 이야.. 2003. 7. 25.
움직이는 드로잉의 세계 - 클레가 영상설치전 Jul. 18. 2003 | 인사동에서 열리는 전시의 수명은 대략 일주일이다. 작품판매보다 전시장 대관 위주로 운영하기 때문에 일주일 단위로 전시장을 계속 ‘돌려야’ 수지 타산이 맞는다. 미술관 급 정도가 되면 넉넉잡고 한 달에서 두 달 전후를 전시공간으로 쓸 수 있지만, 주로 해외 대가들이나 국내 중견작가들의 작품을 선택적으로 수용하기 때문에 재기발랄한 젊은 작가들의 작품이 뚫고 들어갈 틈이 없다. 다소 장황하게 대관일정에 대한 푸념을 늘어놓는 건, 막상 작은 전시공간에서 하는 재미있는 전시를 찾아내도 부커스에 소개할 때쯤이면 끝나버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기왕에 할거면 다른 매체의 눈이 미치지 않는 공간을 찾아 소개하고 싶고, 전시가 끝나기 전에 독특한 작업을 하는 작가들을 한 번 더 돌아보고 싶.. 2003. 7. 18.
문화엄숙주의에 가열찬 똥침을 날려라 - 서양화가 김점선 Jul. 11. 2003 | 역삼동 스타타워 2층에 위치한 스타타워갤러리에서는 8월 23일까지 서양화가 김점선의 개인전을 개최한다. 지난 6월말 끝난 서른 번째 개인전의 연장전인 이번 전시는 기존 유화작품 외에 컴퓨터로 그린 디지털 회화 3백50여 점을 함께 소개한다. 서른 번째 개인전이 “30호 미만 그림이 아니면 판매가 어렵다”는 이유로 소규모 상업화랑에서 외면했던 대작들을 마음껏 소개하는 자리였다면, 이번 연장전은 얼마 전 오십견과 함께 찾아온 팔의 통증을 줄이기 위해 시작한 디지털 회화의 다채로움을 감상할 수 있다. 특히 화투를 주제로 한 50여 점의 신작에서는 김점선 특유의 기발함이 넘친다. 민화를 닮은 소박하고 서정적인 세계 1983년 첫 개인전을 연 이래 아이가 그린 듯 단순 간결하고 천진난.. 2003. 7. 11.